2022년에 출시한 청년희망적금은 20대 청년이라면 너도나도 가입했을 정도로 인기가 뜨거웠습니다. 하지만 이제 청년희망적금의 만기를 앞두신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총정리와 청년희망적금 만기를 앞두신 분들이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면 어떤 혜택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청년희망적금 알아보기
2.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3.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4.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면 좋은 점
청년희망적금은?
- 2년만기
- 월 최대 50만원 자유납입
- 연 이자 최대 6%
- 저축장려금 36만원
- 비과세
과 같은 혜택이 있었고, 당시는 이율이 낮았기 때문에 파격적인 상품이었습니다. 게다가 비과세라는 유일무이한 혜택이 있어 연금리로 환산하면 10%가 넘는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혜택은 15.4%나 되는 이자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일반 시중은행의 적금과 비교가 불가한 정도의 혜택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되면 대부분 1천만원이 넘는 금액을 수령하실텐데 그 돈을 청년도약계좌에 그대로 넣는다면 어떤 혜택이 있을까요?
청년도약과제는?
- 5년만기
- 최대 70만원 자유납입
- 연 이자 최대 5.5%
- 정부기여금 有
- 비과세
의 많은 혜택이 있는 정부 주도의 적금 상품입니다. 하지만 납입기간이 5년으로 매우 길고, 납입 금액이 너무 부담되어 예상보다 인기가 시들했습니다. 과연 정말 메리트가 적은 상품일까요?
1. 매달 70만원 유지는 필수일까?
매달 70만원을 꼭 다 넣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자유적립식 상품이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처럼 50만원씩 납부해도 괜찮고, 2~30만원씩만 납부해도 괜찮습니다.
물론 70만원 최대로 납부하는 것이 기여금 측면에서는 좋겠지만 본인이 납입할 수 있는 만큼만 납부해도 무방합니다.
2. 5년만기를 채워야 할까?
꼭 5년 만기를 유지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중도해지사유에 해당한다면 5년을 다 채우지 않아도 이자, 비과세, 정부보조금 혜택을 모두 받으면서 해지가 가능합니다.
바로 혼인을 하거나, 퇴사하고 새로운 도전을 하거나, 내집마련 후 가구를 구입할 목적이라면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합니다.
3. 꼭 특별사유에 해당되야지만 중도해지가 가능할까?
2024년부터 최소 3년만 유지한다면 가입 후 중도 해지해도 이자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년 만기를 다 채우지 못하였기 때문에 정부보조금은 받지 못하지만 이자와 비과세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4. 5.5%는 고정금리인가요?
3년은 기준금리, 2년은 변동금리입니다. 따라서 3년 뒤 금리가 낮아져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변동금리도 낮아지게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 신규가입일 기준 만 19세~만 34세 (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 개인소득: 총 급여 7,500만원 이하(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넘어가면 무엇이 좋을까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중복가입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한다면 최대 18개월까지 납입기간을 인정해줍니다.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금액은 개인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인정금액은 다르지만 납입 기간을 최대 18개월이나 인정해준다는 측면에서 큰 메리트로 다가옵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끝나 목돈을 묶어둘 은행 적금을 찾고 있는 청년들이라면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매달 70만원을 꼭 넣어야한다는 부담감을 버리고 매달 일정금액을 모아간다면 시중 적금 상품보다 많은 혜택을 누리실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바생 필독! 종합소득세 신고, 환급 방법(삼쩜삼에서 수수료 내지마세요) (2) | 2024.01.27 |
---|---|
일반 청약통장에서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으로 전환방법 (0) | 2024.01.19 |
건강보험 피부양자 신청방법, 개념, 자격, 재산기준, 주택임대소득 기준 (0) | 2024.01.13 |
2024 연말정산 변경된 내용, 꼭 알아야 할 연말정산 개정안 (1) | 2024.01.11 |
공무원 연금 고갈의 진실, 국민 연금과 통합되는 것이 이득인 이유 (1) | 2023.12.06 |
댓글